⚠️ '윈도우 준비 중' 무한 로딩, 이제 그만! 확실한 해결 방법 총정리
목차
- '윈도우 준비 중'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 해결 방법 1: 강제 재부팅 및 기다림
- 해결 방법 2: 주변 장치 연결 해제
- 해결 방법 3: Windows 업데이트 문제 해결
- 3.1. 업데이트 문제 해결사 실행 (접근 가능한 경우)
- 3.2. Windows Update 캐시 삭제 (CMD 이용)
- 해결 방법 4: 시스템 파일 검사 및 복구 (SFC / SCANNOW)
- 해결 방법 5: 시동 복구 옵션 사용
- 6.1. Windows 복구 환경(WinRE) 진입
- 6.2. 시동 복구 실행
- 해결 방법 6: 안전 모드로 진입 후 문제 해결
- 7.1. 안전 모드 진입 방법
- 7.2. 안전 모드에서의 조치 사항 (업데이트 제거 및 드라이버 확인)
- 해결 방법 7: 시스템 복원 지점 이용
- 해결 방법 8: 레지스트리 수정 (고급 사용자)
1. '윈도우 준비 중'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윈도우 준비 중(Getting Windows ready, Don't turn off your computer)' 메시지가 몇 분 이상 지속되거나 무한으로 반복되는 현상은 Windows 운영체제 사용자들이 겪는 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 메시지는 주로 Windows 업데이트 설치 과정, 시스템 설정 변경, 또는 PC의 첫 시동 시 발생합니다. 핵심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업데이트 파일 손상 또는 충돌: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기존 시스템 파일/드라이버와 충돌을 일으킬 때 발생합니다.
- 시스템 파일 오류: OS 구동에 필수적인 파일들이 손상되었거나 누락된 경우입니다.
- 드라이버 문제: 최근 설치된 하드웨어 드라이버가 시스템 부팅 과정에 문제를 일으킬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하드웨어 충돌: 특히 새로 연결한 주변 장치(USB, 외장 HDD 등)가 부팅 과정에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입니다.
- 디스크 오류: HDD/SSD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손상으로 인해 필요한 파일을 제때 불러오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2. 해결 방법 1: 강제 재부팅 및 기다림
가장 기본적인 첫 번째 시도입니다. 간혹 시스템이 실제로 중요한 업데이트 또는 설정을 완료하는 중인데, 그 과정이 길어지면서 사용자가 '무한 루프'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최대 1~2시간 대기: 만약 메시지가 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최소 1시간 정도 충분히 기다려 봅니다.
- 강제 재부팅: 만약 2시간 이상 경과해도 변화가 없다면, PC의 전원 버튼을 5~10초간 길게 눌러 전원을 강제 종료합니다.
- 다시 전원 켜기: 몇 분 후 다시 전원을 켜서 부팅을 시도합니다. 때로는 강제 종료 후 재부팅 과정에서 멈췄던 업데이트 또는 설정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기도 합니다.
3. 해결 방법 2: 주변 장치 연결 해제
새로 연결한 하드웨어 장치나 특정 USB 장치가 부팅 시퀀스에 간섭을 일으켜 '윈도우 준비 중'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모든 주변 장치 분리: PC 본체에 연결된 필수적이지 않은 모든 장치 (USB 드라이브, 외장 하드, 프린터, 추가 모니터, 스마트폰 연결 케이블 등)를 분리합니다.
- 최소 구성으로 부팅: 키보드와 마우스(유선 권장), 모니터만 연결된 최소 구성 상태에서 다시 PC를 부팅해 봅니다.
- 장치 재연결: 정상적으로 부팅이 완료되면, 장치를 하나씩 다시 연결하여 어떤 장치가 문제의 원인인지 확인합니다.
4. 해결 방법 3: Windows 업데이트 문제 해결
대부분의 경우 이 문제는 Windows 업데이트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업데이트 관련 구성 요소를 초기화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복구 환경(WinRE)을 통해 명령 프롬프트에 접근할 수 있을 때 유용합니다.
4.1. 업데이트 문제 해결사 실행 (접근 가능한 경우)
운 좋게도 정상적인 Windows 바탕 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 설정 진입: $\text{시작} \rightarrow \text{설정} (\text{Windows 키} + \text{I}) \rightarrow \text{업데이트 및 보안}$ (또는 $\text{Windows 업데이트}$) $\rightarrow \text{문제 해결}$ $\rightarrow \text{추가 문제 해결사}$
- Windows Update 선택: 'Windows Update'를 선택하고 $\text{문제 해결사 실행}$을 클릭합니다. 시스템이 자동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을 시도합니다.
4.2. Windows Update 캐시 삭제 (CMD 이용)
시스템이 '윈도우 준비 중' 상태로 멈춰 바탕 화면에 접근할 수 없을 때는, 부팅 가능한 USB나 설치 미디어를 이용해 복구 환경(WinRE)으로 진입해야 합니다.
- WinRE 진입: $\text{문제 해결} \rightarrow \text{고급 옵션} \rightarrow \text{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합니다.
- 서비스 중지: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합니다. (서비스 중지는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멈추는 핵심 단계입니다.)
- $\text{net stop wuauserv}$
- $\text{net stop bits}$
- 캐시 폴더 삭제/이름 변경: 업데이트 캐시 파일이 저장된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여 Windows가 새 폴더를 만들도록 합니다.
- $\text{ren C:\Windows\SoftwareDistribution SoftwareDistribution.old}$
- $\text{ren C:\Windows\System32\catroot2 catroot2.old}$
- 서비스 재시작:
- $\text{net start wuauserv}$
- $\text{net start bits}$
- 재부팅: $\text{exit}$를 입력하고 PC를 다시 시작합니다.
5. 해결 방법 4: 시스템 파일 검사 및 복구 (SFC / SCANNOW)
시스템 파일 손상이 원인일 경우, $\text{SFC (System File Checker)}$ 도구를 사용하여 복구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 역시 복구 환경의 명령 프롬프트에서 수행해야 합니다.
- WinRE 진입: $\text{문제 해결} \rightarrow \text{고급 옵션} \rightarrow \text{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합니다.
- 명령 실행: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고 $\text{Enter}$ 키를 누릅니다.
- $\text{sfc /scannow}$
- 대기: 검사 및 복구 과정은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습니다. 100% 완료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 재부팅: 작업 완료 후 $\text{exit}$를 입력하고 PC를 다시 시작합니다.
6. 해결 방법 5: 시동 복구 옵션 사용
Windows 복구 환경(WinRE)에서 제공하는 '시동 복구(Startup Repair)'는 부팅을 방해하는 일반적인 문제를 자동으로 진단하고 해결하려는 시도입니다.
6.1. Windows 복구 환경(WinRE) 진입
Windows가 연속으로 3회 부팅에 실패하면 자동으로 WinRE로 진입합니다. 수동으로 진입하려면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강제 종료 및 재시작 반복: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PC를 강제 종료하고, 다시 전원을 켜서 부팅을 시도합니다. Windows 로고가 보이기 시작하면 다시 강제 종료합니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면 4번째 시도에서 WinRE 화면이 나타납니다.
- 설치 미디어 사용: 부팅 가능한 USB 또는 DVD를 사용하여 PC를 부팅하고, $\text{Windows 설치}$ 화면에서 $\text{다음} \rightarrow \text{컴퓨터 복구}$를 선택하여 WinRE로 진입합니다.
6.2. 시동 복구 실행
WinRE 화면에서 다음 경로를 따라 시동 복구를 실행합니다.
- $\text{문제 해결} \rightarrow \text{고급 옵션} \rightarrow \text{시동 복구}$를 선택합니다.
- 복구할 대상 운영체제(Windows)를 선택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부팅 문제를 진단하고 수정합니다.
7. 해결 방법 6: 안전 모드로 진입 후 문제 해결
안전 모드는 최소한의 드라이버와 서비스만을 사용하여 Windows를 실행하므로, 충돌을 일으키는 소프트웨어나 드라이버를 식별하고 제거하는 데 유용합니다.
7.1. 안전 모드 진입 방법
WinRE에 진입한 후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 $\text{문제 해결} \rightarrow \text{고급 옵션} \rightarrow \text{시작 설정}$을 선택합니다.
- $\text{다시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 다시 시작 후 나타나는 목록에서 4번 ($\text{안전 모드 사용}$) 또는 5번 ($\text{네트워킹 사용 안전 모드 사용}$)을 선택합니다.
7.2. 안전 모드에서의 조치 사항 (업데이트 제거 및 드라이버 확인)
안전 모드로 성공적으로 진입했다면, 최근의 변경 사항을 되돌립니다.
- 최근 업데이트 제거: $\text{설정} \rightarrow \text{업데이트 및 보안} \rightarrow \text{Windows 업데이트} \rightarrow \text{업데이트 기록 보기} \rightarrow \text{업데이트 제거}$를 선택하여, 가장 최근에 설치된 업데이트를 제거합니다. 이 업데이트가 '윈도우 준비 중'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드라이버 확인: 최근에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한 그래픽 카드, 사운드 카드 등 주요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text{장치 관리자}$에서 확인하여 문제가 있다면 롤백하거나 제거합니다.
8. 해결 방법 7: 시스템 복원 지점 이용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에 시스템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생성해 둔 '시스템 복원 지점'이 있다면, PC를 해당 시점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개인 파일(문서, 사진 등)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시스템 파일, 프로그램, 레지스트리 설정만 되돌립니다.
- WinRE 진입: $\text{문제 해결} \rightarrow \text{고급 옵션} \rightarrow \text{시스템 복원}$을 선택합니다.
- 복원 지점 선택: 복원할 운영체제(Windows)를 선택한 후,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의 시점을 선택하고 복원 과정을 시작합니다.
- 복원 완료 대기: 복원 과정은 시스템 크기에 따라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완료 후 PC가 재부팅되면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9. 해결 방법 8: 레지스트리 수정 (고급 사용자)
매우 드물게 '윈도우 준비 중' 메시지가 특정 레지스트리 키의 문제로 인해 반복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고급 사용자에게만 권장되며, 레지스트리 편집 시 시스템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 WinRE 진입: $\text{문제 해결} \rightarrow \text{고급 옵션} \rightarrow \text{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합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text{regedit}$를 입력하고 $\text{Enter}$ 키를 누릅니다.
- Problematic Key 확인: 다음 레지스트리 경로를 확인합니다.
- $\text{HKEY_LOCAL_MACHINE}\backslash\text{SYSTEM}\backslash\text{Setup}$
- $\text{Upgrade}$ 키 제거/이름 변경: $\text{Setup}$ 키 아래에 $\text{Upgrade}$라는 키가 있다면, 이 키를 제거하거나 $\text{Upgrade.old}$ 등으로 이름을 변경한 후 재부팅을 시도합니다. 이 키는 업데이트가 비정상적으로 완료된 후 남아 부팅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위 모든 방법을 시도했음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는 운영체제 자체의 심각한 손상이나 하드웨어(특히 디스크) 오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한 후 Windows를 새로 설치(클린 설치)하는 것이 마지막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Windows 11 아웃룩, 이대로는 위험하다! 강력한 보안 설정으로 이메일 위협 완벽 (0) | 2025.11.20 |
|---|---|
| 😱 윈도우11 설치 후 후회? 10일 지나도 윈도우10으로 완벽 복원하는 초간단 해결 (0) | 2025.11.19 |
| 🚀 윈도우 11 작업표시줄 크기, 답답함을 날려버릴 완벽 해결 가이드! (0) | 2025.11.19 |
| 🚨 윈도우 11 보안 기능! 꺼도 괜찮을까요? 해결 방법과 주의 사항 총정리 🛡️ (0) | 2025.11.18 |
| 🤯 '인터넷 연결 안 됨' 공포 끝! 윈도우 11 네트워크 문제, 초보자도 10분 만에 완벽 (0) | 2025.11.18 |